안녕하세요! 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 CAP ] What is the '@sap/cds/common'? @sap/cds/common Why use it? @sap/cds/common을 쓰는 이유는 간결하고 이해하기 쉬운 모델로서 작용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모든 Application 간의 상호 운용성을 촉진하며, 실제 Application에서 입증되기도 하였고, 이는 진입 장벽이 최소화/간소화된 데이터 모델이기에 가능하다. 또한 최적화된 구면 및 런타임 성능을 지녔으며, 현지화된 코드 목록과 값에 대한 도움말을 자동으로 지원해준다. Aspect를 사용함으로써 활용도를 확장시키기도 한다. Common Reuse Aspects cuid entity Foo : cuid {...} entity Foo { key ID : UUID; ... } cuid를 사용하게 되면 UUID로 지정해둔 key ID가 자동으로.. 더보기 [ CAP ] What is the 'Associations'? Associations Unmanaged Associations entity Employees { address : Association to Addresses on address.ID = address_ID; address_ID : Integer; //> foreign key } entity Addresses { key ID : Integer; } entity Addresses에 있는 key ID를 Integer로 설정한다. Employees의 address에 entity Addresses의 ID와 연결하여, 즉 각 entity 간에 JOIN을 수행할 수 있도록 address_ID라는 address의 별칭을 지정해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address_ID는 Integer로 선언한다. Managed(.. 더보기 [ CAP ] Getting Started 팀장님께서 과제 하나를 주셨다. 그것인 즉슨,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CAP 스터디를 각자 진행하되, 매주 한 번씩 스터디의 경과와 한 두 가지 파트를 분석해 공유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현재 진행 중이던 UI5 Walk Through의 복습이 거의 다 끝났기에, CAP에 대해 다뤄보고자 한다. CDS를 핵심적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한 학습이 될 거 같다. Getting Started CAP는 Node.js와 Java를 지원한다. 이번 학습 과정은 Node.js로 진행이 되기 때문에 Java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아래 링크에 접속해 진행하면 된다. capire - Getting Started Getting Started How to start a new CAP Java project and how to.. 더보기 [ CAP ] MTA와 CAP SAP MTA SAP MTA란 다중 대상 응용프로그램이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Application 및 Resource Module로 구성된 패키지이다. 이는 서로다른 기술을 사용해 생성되고 다른 런타임에 배포되더라도 공통된 수명 주기를 가지고 있다. 다른 Module을 함께 하나로 묶으며, 다른 Module과 Service 및 Interface에 대한 상호 종속성과 관련해 MTA에 패키징이 가능하다. SAP CAP SAP CAP(Cloud Application Programming Model) 은 개발자가 코딩 노력을 최소화하도록 하며, Service 형태로 Business/Enterprise의 특정 로직을 설계 및 구현한다. SAP MTA SAP CAP 모든 UI5/Fiori 앱은 MTA로 배포된다...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네트워크 서비스 공격 기법 네트워크 서비스 공격 기법 네트워크 서비스 공격 기법은 아래와 같다. 사전 대입 공격(Dictionary Attack)이란 시스템 또는 서비스의 ID와 패스워드를 알아내기 위해 ID와 패스워드가될 가능성이 있는 단어를 파일로 만들어 놓고 이 파일의 단어를 대입해 패스워드를 알아내는 공격 기법이다. 무차별 대입 공격(Brute Force Attack)은 패스워드로 사용될 수 있는 영문자(대소문자), 숫자, 특수문자 등을 무작위로 패스워드 자리에 대입해 패스워드를 알아내는공격 기법이다. ARP 스푸핑(ARP Spoofing)은 특정 호스트의 MAC 주소를 자신의 MAC 주소로 위조한 ARP Reply를 생성해 희생자에게 지속적으로 전송한다. 희생자의 ARP Cache table에 특정 호스트의 MAC 정보를..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반정규화 주요 기법 반정규화 주요 기법 반정규화의 주요 기법을 알아보자. 테이블 병합은 1:1 관계, 1:M 관계를 통합하여 JOIN 횟수를 줄여 성능을 향상시킨다. 테이블 분할은 테이블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분할하는 것으로, 파티셔닝이라고도 불린다. 중복 테이블 추가는 대량의 데이터들에 대한 집계함수(GROUP BY, SUM 등)를 사용해 실시간 통계 정보를 계산하는 경우에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 별도의 통계 테이블을 두거나 중복 테이블을 추가하는 것을 말한다. 칼럼 중복화란 JOIN 성능 향상을 위해 중복을 허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중복 관계 추가는 데이터 처리를 위한 여러 경로를 거쳐 JOIN이 가능하지만, 이때 발생할 수 있는 성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관계를 맺는 방법이다. ESB(Enterprise Se..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비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비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의 종류는 이렇다. 디피-헬만(Diffie-Hellman)은 1976년에 고안된 알고리즘으로서 유한 필드 내에서 이산대수의 계산이 어려운 문제를 기본 원리로 한다. 공개키 암호 방식의 개념을 이용해 두 사용자 간 공통의 암호화키를 안전하게 공유할 방법을 제시한다. 이는 많은 키 분배 방식에 관한 연구의 기본이 된 최초의 비밀키 교환 프로톨이다. RSA(Rivest-Shamir-Adleman)는 1977년 3명의 MIT 수학 교수가 고안한 큰 인수의 곱을 소인수분해하는 수학적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이다. 비밀키의 복호화가 어려운 RSA 안전성은 소인수분해 문제의 어려움에 근거를 둔다. ECC(Elliptic Curve Cryptography)는 1985년에 코블리..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DES(Data Encryption Standard)는 1975년 미국의 연방 표준국(NIST)에서 발표한 대칭키 기반의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이다. 블록 크기는 65bit, 키 길이는 56bit인 페이스텔(Feistel)구조로 되어 있으며, DES를 3번 적용해 보안을 더욱 강화한 3DES로 활용된다. SEED는 1999년 한국인터넷진흥원(KIST)이 개발한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이다. 128bit 비밀키로부터 생성된 16개의 64bit 라운드키를 사용해 총 16회의 라운드를 거쳐 128bit 평문 블록을 128bit 암호문 블록으로 암호화해 출력한다. 블록 크기는 128bit이며, 키 길이에 따라 128bit, 192bit,256bit.. 더보기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