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녕하세요!

정처기 실기

[ 정보처리기사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구조적 방법론(SD : Structured Development) 구조적 방법론이란 전체 시스템을 기능에 따라 나누어 개발하고, 이를 통합하는 분할과 정복 접근 방식이다. 또한 프로세스 중심의 하향식 방법론이다. 나씨 슈나이더만(Nassi-Shneiderman)은 논리 기술에 중점을 둔 도형식 표현 방법이다. 연속/선택/반복 등 제어 논리구조로 표현되며, 조건이 복합되어 있는 곳의 처리를 시각적으로 명확히 식별하는 데에 적합하다. 정보공학 방법론(IED : Information Engineering Development) 정보공학 방법론은 정보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관리 절차와 작업 기법을 체계화 한 방법론이다. 또한 개발 주기를 이용해 대형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체계적인 방법론이다..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네트워크 서비스 공격 기법 네트워크 서비스 공격 기법 네트워크 서비스 공격 기법은 아래와 같다. 사전 대입 공격(Dictionary Attack)이란 시스템 또는 서비스의 ID와 패스워드를 알아내기 위해 ID와 패스워드가될 가능성이 있는 단어를 파일로 만들어 놓고 이 파일의 단어를 대입해 패스워드를 알아내는 공격 기법이다. 무차별 대입 공격(Brute Force Attack)은 패스워드로 사용될 수 있는 영문자(대소문자), 숫자, 특수문자 등을 무작위로 패스워드 자리에 대입해 패스워드를 알아내는공격 기법이다. ARP 스푸핑(ARP Spoofing)은 특정 호스트의 MAC 주소를 자신의 MAC 주소로 위조한 ARP Reply를 생성해 희생자에게 지속적으로 전송한다. 희생자의 ARP Cache table에 특정 호스트의 MAC 정보를..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반정규화 주요 기법 반정규화 주요 기법 반정규화의 주요 기법을 알아보자. 테이블 병합은 1:1 관계, 1:M 관계를 통합하여 JOIN 횟수를 줄여 성능을 향상시킨다. 테이블 분할은 테이블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분할하는 것으로, 파티셔닝이라고도 불린다. 중복 테이블 추가는 대량의 데이터들에 대한 집계함수(GROUP BY, SUM 등)를 사용해 실시간 통계 정보를 계산하는 경우에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 별도의 통계 테이블을 두거나 중복 테이블을 추가하는 것을 말한다. 칼럼 중복화란 JOIN 성능 향상을 위해 중복을 허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중복 관계 추가는 데이터 처리를 위한 여러 경로를 거쳐 JOIN이 가능하지만, 이때 발생할 수 있는 성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관계를 맺는 방법이다. ESB(Enterprise Se..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DES(Data Encryption Standard)는 1975년 미국의 연방 표준국(NIST)에서 발표한 대칭키 기반의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이다. 블록 크기는 65bit, 키 길이는 56bit인 페이스텔(Feistel)구조로 되어 있으며, DES를 3번 적용해 보안을 더욱 강화한 3DES로 활용된다. SEED는 1999년 한국인터넷진흥원(KIST)이 개발한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이다. 128bit 비밀키로부터 생성된 16개의 64bit 라운드키를 사용해 총 16회의 라운드를 거쳐 128bit 평문 블록을 128bit 암호문 블록으로 암호화해 출력한다. 블록 크기는 128bit이며, 키 길이에 따라 128bit, 192bit,256bit..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UI UI UI 설계 원칙 직관성(Intuitiveness)란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효성(Efficiency)는 정확하고 완벽하게 사용자의 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을 말한다. 학습성(Learnability)는 초보와 숙련자 모두가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게 제작해야 하는 것이다. 유연성(Flexibility)는 사용자의 인터렉션을 최대한 포용하고, 실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다. UI 시나리오 문서 작성 요건 완전성(complete)는 누락이 없어야 하고, 최대한 빠짐없이 가능한 한 상세히 기술하는 것을 말한다. 즉 시스템 기능보다 사용자의 테스크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일관성(Consistent)는 서비스에 대한 목표와 시스템 및 사..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해시 암호화 알고림즘 해시 암호화 알고리즘 해시 암호화 알고리즘이란 임의의 길이의 정보를 입력받아 고정된 길이의 암호문(해시값)을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원래 입력값을 찾아낼 수 없는 일방향성을 가지며, 복호화가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MD5(Message-Digest Algorithm)은 1991년 R.rivest가 MD4를 개선하여 만든 암호화 알고리즘이다. 이것은 프로그램이나 파일의 무결성 검사에 사용되며, 각각의 512bit 입력 메세지 블록에 대해 차례로 동작하여 128bit 해싯값을 생성한다. SHA-1(Secure Hash Algorithm)은 1993년 NSA에서 미 정부 표준으로 지정된 것을 말하며, DSA(Digital Signature Algorithm에서 사용되고 160bit 해싯값을 생성한다..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디자인 패턴 디자인 패턴 디자인 패턴은 크게 생성 패턴, 구조 패턴, 행위 패턴으로 나눌 수 있다. ※ 제목 우측의 영어 대문자는 용어 앞글자를 따서 외우기 쉽게 하기 위해 나름대로 적어놓은 것이다. 생성패턴 A B F P S Builder는 복잡한 Instance를 조립해 만드는 구조이다. 복합 객체를 생성할 때 객체를 생성과 구현을 분리함으로써 동일한 생성 절차에서 서로 다른 표현 결과를 생성한다. Prototype은 처음부터 일반적인 원형을 만들어 놓고, 그것을 복제한 후 필요한 부분만 수정해 사용한다. 생성할 객체의 원형을 제공하는 Instance에서 생성할 객체들의 Type이 결정되도록 설정한다. Factory Method는 상위 Class에서 객체를 생성하는 Interface를 정의하고, 하위 Class에..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Software Architecture)는 여러 가지 Software 구성요소와 그 특성 중에서 외부에 드러나는 특성,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시스템 구조를 말한다. 그 유형은 다음과 같다. 브로커 패턴(Broker Pattern)은 분리된 Components로 이루어진 분산 시스템에 사용한다. 또한 Components는 Remote Service 실행을 통해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계층화 패턴(Layered Pattern)은 시스템을 계층으로 구분해 구성하는 것이다. 각 하위 Modules는 특정 수준의 추상화를 제공하며 각 계층은 다음 상위 계층에서 Service를제공한다. 클라이언트-서버 패턴(Client-Server Pattern)은 하나의 Server.. 더보기

300x250
반응형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