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녕하세요!

정처기

[ 정보처리기사 ] 실기 2021년 2회 1~10번 네트워크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동적으로 변화되는 특징이 있으며 응용 분야로는 긴급 구조, 긴급 회의, 전쟁터에서의 군사 네트워크에 활용되는 네트워크는? Ad-hoc 다음에서 설명하는 개념을 쓰시오. (1) 사람의 감정이나경험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2) 예로서 CLI가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1) UX(User Experience) (2) UI(User Interface) 트랜잭션의 특징중, 원자성(Atomicity)에 대해 약술하시오. 원자성이란 트랜잭션과 관련된 작업들이 부분적으로 실행되다가 중단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말한다. 즉, 트랜잭션이 DB에 모두 반영되거나, 전혀 반영되지 않아야 함을 의미한다. 테이블의 튜플을 수정하고자 한다. 올바른 SQL을 작성하기 ..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실기 / 2021년 1회 11~20번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IPv6은 ( A ) 비트 길이를 가진다. IPv4는 길이 23bit이며, ( B ) 비트씩 4 부분으로 나눈다. A : 128 B : 8 공유메모리, 소켓, 세마포어, 메세지 큐 등 프로세스 간 통신하는 기술을 무엇이라고 하는지 쓰시오.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 시스템 통합에 사용되는 솔루션으로 구축 유형에는 Point to Point, Hub & Spoke, Message Bus가 있다.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보를 전달, 연계, 통합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솔루션을 무엇이라고 하는지 쓰시오. EAI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란 엔터프라이즈의 미들웨..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실기 / 2021년 1회 1~10번 물리 네트워크(MAC) 주소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알려주는 프로토콜로 역순 주소 결정 프로토콜을 무엇이라고 하는지 쓰시오. RARP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란 물리 네트워크를 이용해 논리 주소로 변환시켜 주는 프로토콜이다. 이는 로컬 디스크가 없는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시스템에도 사용된다. 다음은 DB 설계 절차에 관한 설명이다.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 A )은/는 특정 DBMS의 특성 및 성능을 고려하여 데이터베이스 저장 구조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결과로 나오는 명세서는 테이블 정의서 등이 있다. ( B )은/는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추상적, 개념적으로 표현하여 개념적 구조를 도출하는 과정으로 주요 산출물에는 E-R 다이어그..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실기 / 2020년 3회 11~20번 다음 중 헝가리안 표기법(Hungarian Notation)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헝가리안 표기법이란 식별자 표기 시에 접두어에 자료형을 붙이는 표기법이다. 테스트의 종류 중, 동치 분할 테스트, 경곗값 분석 테스트 등의 종류가 있는 테스트 기법을 쓰시오. 블랙박스 테스트 동치분할 테스트란 프로그램의 입력 데이터를 여러 분류로 나누어 검사하는 것을 말한다. 경계값 분석은 입력값의 경곗값을 중심으로 예외가 발생하는 여부를 검사한다. 원인-결과 그래프 기법은 입력데이터 간의 관계와 출력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 그래프를 이용하는 기법이다. 오류 예측 검사는 테스터의 감각이나 경험, 지식을 통해 에러 케이스를 예측하는 것이다. 비교 검사란 테스트 대상과 비교 대상 프로그램에 같은 입력값을 넣어 데이터를 비교하여 ..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실기 / 2020년 3회 1~10번 리팩토링의 목적에 대한 설명을 작성하시오. 먼저 소프트웨어를 보다 이해하기 쉽고, 수정하기 쉽도록 개선하기 위함이다. 또한 결과의 변경 없이 코드의 구조를 재종하는 것으로 가독성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쉽게하기 위한 목적이다. 그리고 코드의 외부 행위는 바꾸지 않고 내부 구조를 개선시켜 소프트웨어를 보다 이해하기 쉽고, 수정하기 쉽도록 만들기 위해서이다. 다음의 출력 결과를 쓰시오. #include void main() { int c = 0; int i = 0; while(i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실기 / 2020년 1회 - 11~20번 OSI 7계층 중 다음에서 설명하는 계층은?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 간의 실제 접속과 절단 등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특성에 대한 규칙을 정의한다. 단위(PUD)는 '비트'를 사용한다. 물리 계층 1계층은 물리계층(Physical layer)이며, 물리적인 장치의 전기적, 전자적 연결에 대한 명세이다. 이 계층에서는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적인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물리적인 전송을 가능케 한다. 또한 주소 개념이 없으며 물리적으로 연결된 노드 간에 신호를 주고 받는다. 2계층은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layer)이다. 인접한 노드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단위: 프레임) 전송을 제어(Nod-To Delivery)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카드의 MAC(Media Access Contr.. 더보기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