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격증 준비 썸네일형 리스트형 [ SQLD ] 데이터 모델링 - Attribute Attribute 속성(Attribute)이란 업무상 필요한 인스턴스에서 관리코자 하는 의미상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 최소 단위의 데이터이다. 속성은 주된 식별자에 함수적 종속성을 가지는 정규화 과정 중 하나인 도메인 무결성이 이행되어야 하며, 하나의 속성에는 하나의 속성값(value)만 가진다. 속성의 분류 기본 속성(Basic Attribute)은 업무 분석을 통해 정의한 속성이고, 설계 속성(Designed Attribute)은 기존 업무상 존재하지 않지만 설계 도중 도출해낸 속성이며 파생 속성(Derived Attribute)은 다른 속성으로부터 적용된 속성값을 말한다. 도메인 도메인(Domain)이란 각 Attribute가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를 정의하며, Attribute는 도메인 외의 값.. 더보기 [ SQLD ] 데이터 모델링 데이터 모델링 모델링 모델링(Modeling)이란 복잡한 현실세계를 단순화하여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즉, 현실세계에 관한 것들이 추상화라는 방식을 통해 반영되는 것이다. 모델링 특징 추상화는 현실세계를 일정한 형식에 맞춰 표현하는 것이다. 단순화는 복잡한 현실세계를 약속된 규약으로써 제한된 표기법 혹은 특정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다. 명확화는 어느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대상에 대한 현상을 정확하게 기술하는 것이다. 모델링의 세 가지 관점 데이터 관점은 데이터 간의 관계가 무엇인가에 대해 모델링하는 방법이다. 프로세스 관점은 실제로 무엇을 해야하는지에 관해 모델링하는 방법이다. 상관 관점은 업무가 처리하는 일의 방법에 따라 데이터는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는지 모델링하는 방법이다. 데이터 모델링 데이터 모..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빌드 자동화 도구 빌드 자동화 도구 Make Make는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주로 사용되는 프로그램 빌드 도구이다. 파일 간의 종속 관계를 파악해 기술 파일(Makefile)에 적힌 내용을 컴파일러가 순차적으로 실행하게 한다. Ant Ant는 Java 기반의 빌드 도구로 다른 빌드 도구보다 역사가 오래 되었다. 개발자가 원하는 형태로 개발을 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추고 있으며, XML 기반의 빌드스크립트로 개발을 진행한다. 그러나 스크립트의 재사용이 어려우며 Remote Repository를 가져올 수 없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Maven Maven은 프로젝트에 필요한 모든 의존성(Dependency)을 리스트 형태로 Maven에게 알려 관리할수 있도록 돕는 방식이다.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특정 파일(pom.xml)에..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버전 관리 도구 버전 관리 도구 CVS CVS는 중앙에 위치한 Repository에 파일을 저장하고, 인가된 모든 사용자가 파일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파일의 히스토리를 보존하기 때문에 과거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Commit 중 오류가 발생하면 롤백되지 않고, 다른 개발자가 작업 중인 파일에 덮어쓰기가 방지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린 편이며, 등록된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변동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SVN SVN은 CVS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 해 만들어졌다. 최초 1회에 한해 파일 원본을 저장하고, 그 이후에는 실제 파일이 아닌 원본과 차이점을 저장하는 방식이다. 언제든지 원하는 시점으로 복구가 가능하며, Commit 실패 시 Rollback이 가능하다. Trunk, Branches, Tags의 폴더로 ..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품질 속성 정확성(Correctness)은 사용자가 요구한 기능을 정확히 수행해야함을 의미한다. 신뢰성(Reliability)은 요구한 기능이 오차나 오류가 없이 동작해야한다는 것을 말한다. 효율성(Efficiency)은 기능이 수행되면서 자원(CPU, Memory)을 적절히 사용해야함을 말한다. 무결성(Integrity)이란 자료는 인가된 사용자만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 용이성(Usability)은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유지보수성(Maintainability)은 오류 수정 및 변경이 용이해야함을 말한다. 유연성(Flexibility)은 새로운 요구사항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시험 용이성(Testability)이란 테스트를 하는 ..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객체 지향 분석 모델 객체 지향 분석 모델 객체 지향 분석이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요구된 문제와 관련된 모든 클래스, 이와 연관된 속성과 연산 그들 간의 관계 등을 정의해 모델링하는 작업이다. 객체지향 분석 방법론 Rumbaugh 럼바우 방법은 분석 활동을 객체 / 동적 / 기능 모델로 나누어 수행하는 방식이다. 객체 모델링(Object Modeling)은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객체를 찾아내어 속성과 연산 식별 및 객체들 간의 관계를 규정해 객체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는 객/동/기 중 가장 먼저 선행돼야 한다. 동적 모델링(Dynamic Modeling)은 상태 다디어그램을 이용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제어 흐름 동작 순서 등 동적 행위를표현한다. 기능 모델링(Functional Modeling)은 자료 흐름..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요구사항 분석 기법 요구사항 분석 기법 요구사항 분석 기법에서 요구사항 분류(Requirement Classification) 단계에서는 요구사항이 소프트웨어에 미치는 영향의 범위를 파악하고 생명주기 동안 변경이 발생하는 지에 대해 확인한다. 개념 모델링(Conceptual Modeling) 단계에서 요구사항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UML이나 ERD를 활용함으로써 단순화해 개념적으로 표현하게 된다. 요구사항 할당(Requirement Allocation)에서는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식별된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분석하는 과정에서 추가 요구사항을 발견한다. 요구사항 협상(Requirement Negotiation)을 통해 요구사항이 서로 충돌되는 경우 우선순위를 부여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정형 분석..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개발 비용 산정 개발 비용 산정 하향식 산정 기법(Top-Down) 전문가 기법 전문가 기법은 조직 내 경험이 있는 전문가에게 비용 산정을 의뢰해 산정하는 방식이다. 델파이 기법 델파이 기법을 통해 어느한 전문가의 선입견이나 사적인 견해에서 발현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여러 명의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해 판단한다. 상향식 산정 기법(Bottom-Up) LOC(원시코드 라인수) 기법 LOC 기법은 각 기능의 원시 코드 라인 수의 비관치(가장 많은 라인수), 낙관치(가장 적은 라인수), 중간치(기대치와 평균 라인수)를 측정해 예측치를 구함으로써 비용을 산정하는 방식이다. 추정 LOC = ( 낙관치 + ( 4 * 중간치 ) + 비관치 ) / 6 M/M 기법 M/M 기법은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 각 단계별로 적용시켜 모든 .. 더보기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