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격증 준비 썸네일형 리스트형 [ 정보처리기사 ] 비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비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의 종류는 이렇다. 디피-헬만(Diffie-Hellman)은 1976년에 고안된 알고리즘으로서 유한 필드 내에서 이산대수의 계산이 어려운 문제를 기본 원리로 한다. 공개키 암호 방식의 개념을 이용해 두 사용자 간 공통의 암호화키를 안전하게 공유할 방법을 제시한다. 이는 많은 키 분배 방식에 관한 연구의 기본이 된 최초의 비밀키 교환 프로톨이다. RSA(Rivest-Shamir-Adleman)는 1977년 3명의 MIT 수학 교수가 고안한 큰 인수의 곱을 소인수분해하는 수학적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이다. 비밀키의 복호화가 어려운 RSA 안전성은 소인수분해 문제의 어려움에 근거를 둔다. ECC(Elliptic Curve Cryptography)는 1985년에 코블리..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DES(Data Encryption Standard)는 1975년 미국의 연방 표준국(NIST)에서 발표한 대칭키 기반의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이다. 블록 크기는 65bit, 키 길이는 56bit인 페이스텔(Feistel)구조로 되어 있으며, DES를 3번 적용해 보안을 더욱 강화한 3DES로 활용된다. SEED는 1999년 한국인터넷진흥원(KIST)이 개발한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이다. 128bit 비밀키로부터 생성된 16개의 64bit 라운드키를 사용해 총 16회의 라운드를 거쳐 128bit 평문 블록을 128bit 암호문 블록으로 암호화해 출력한다. 블록 크기는 128bit이며, 키 길이에 따라 128bit, 192bit,256bit..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UI UI UI 설계 원칙 직관성(Intuitiveness)란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효성(Efficiency)는 정확하고 완벽하게 사용자의 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을 말한다. 학습성(Learnability)는 초보와 숙련자 모두가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게 제작해야 하는 것이다. 유연성(Flexibility)는 사용자의 인터렉션을 최대한 포용하고, 실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다. UI 시나리오 문서 작성 요건 완전성(complete)는 누락이 없어야 하고, 최대한 빠짐없이 가능한 한 상세히 기술하는 것을 말한다. 즉 시스템 기능보다 사용자의 테스크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일관성(Consistent)는 서비스에 대한 목표와 시스템 및 사..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해시 암호화 알고림즘 해시 암호화 알고리즘 해시 암호화 알고리즘이란 임의의 길이의 정보를 입력받아 고정된 길이의 암호문(해시값)을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원래 입력값을 찾아낼 수 없는 일방향성을 가지며, 복호화가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MD5(Message-Digest Algorithm)은 1991년 R.rivest가 MD4를 개선하여 만든 암호화 알고리즘이다. 이것은 프로그램이나 파일의 무결성 검사에 사용되며, 각각의 512bit 입력 메세지 블록에 대해 차례로 동작하여 128bit 해싯값을 생성한다. SHA-1(Secure Hash Algorithm)은 1993년 NSA에서 미 정부 표준으로 지정된 것을 말하며, DSA(Digital Signature Algorithm에서 사용되고 160bit 해싯값을 생성한다..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디자인 패턴 디자인 패턴 디자인 패턴은 크게 생성 패턴, 구조 패턴, 행위 패턴으로 나눌 수 있다. ※ 제목 우측의 영어 대문자는 용어 앞글자를 따서 외우기 쉽게 하기 위해 나름대로 적어놓은 것이다. 생성패턴 A B F P S Builder는 복잡한 Instance를 조립해 만드는 구조이다. 복합 객체를 생성할 때 객체를 생성과 구현을 분리함으로써 동일한 생성 절차에서 서로 다른 표현 결과를 생성한다. Prototype은 처음부터 일반적인 원형을 만들어 놓고, 그것을 복제한 후 필요한 부분만 수정해 사용한다. 생성할 객체의 원형을 제공하는 Instance에서 생성할 객체들의 Type이 결정되도록 설정한다. Factory Method는 상위 Class에서 객체를 생성하는 Interface를 정의하고, 하위 Class에..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Software Architecture)는 여러 가지 Software 구성요소와 그 특성 중에서 외부에 드러나는 특성,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시스템 구조를 말한다. 그 유형은 다음과 같다. 브로커 패턴(Broker Pattern)은 분리된 Components로 이루어진 분산 시스템에 사용한다. 또한 Components는 Remote Service 실행을 통해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계층화 패턴(Layered Pattern)은 시스템을 계층으로 구분해 구성하는 것이다. 각 하위 Modules는 특정 수준의 추상화를 제공하며 각 계층은 다음 상위 계층에서 Service를제공한다. 클라이언트-서버 패턴(Client-Server Pattern)은 하나의 Server..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네트워크 슬라이싱 네트워크 슬라이싱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이란 하나의 물리적 Core Network를 독립된 다수 Virtual Network로 분리해 고객 맞춤형 Service를 제공하는 5G 핵심기술이다. 이는 SDN과 NFV 기술을 활용해 하나의 물리적인 망에 여러 개의 논리적인 망을 만들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SDN(Software Defined Network)은 개방형 API(Overflow) 기반의 Network 장비의 Traffic root를 지정하는 Control Plane과 Traffic 전송을 수행하는 Data Plane을 분리해 Network Traffic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NFV(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는 범용 하드웨어.. 더보기 [ 정보처리기사 ] 스키마 스키마 스키마(Schema)의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외부 스키마(External Schema)는 User나 Application Programmer가 각 개인의 입장에서 필요로 하는 Database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한다. 전체 Database의 논리적인 한 부분으로 볼 수 있으므로 Sub Schema라고도 한다. 하나의 Database 관리 시스템에서는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다. 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는 개체 간의 관계와 제약 조건을 나타내고 Database의 접근 권한, 보안 정책 및 무결성 규정에 관한 명세를 정의한다. Database의 전체적인 논리 구조로서 모든 응용 프로그램이나 User들이 필요로 하는 Data를 통합한 조직 전체의 Datab..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