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녕하세요!

Java

[ Java ] Windows에서 Docker 사용하기

Docker-desktop은 원래 Docker가 다운되면 저장된 데이터를 날려버린다.하지만 위와 같이 로컬에서  'mysql' 파일을 생성하여여기에 데이터를 저장하면 docker가 다운되더라도 데이터가 날라가지 않게 된다. docker-compose up -d 명령어를 입력하면로컬에 있는 파일로 db를 실행하게 된다.docker-compose up -d 혹시나 permission 에러가 난다면, sudo chmod 666 /var/run/docker.sock명령어를 입력해 준다.sudo chmod 666 /var/run/docker.sock obsolute 에러가 난다면 docker-compose.yaml 파일에 있는 version 정보를 삭제해야 한다.일정 버전 이상부터는 version 정보가 불필요해..

더보기
HANA

[ HANA ] How to Connect from HANA to PostgreSQL(1)

Deploy to HANA Cloud Create entity  SAP BTP BAS 혹은 Visual Studio에서 CAP 프로젝트를 생성하여위와 같이 엔터티를 설정한다.본인이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엔터티를 생성하면 된다.  서비스에 정의한 엔터티를 추가한다. Deploy to HANA  BTP에 생성되어 있거나 구독하고 있는 HANA Cloud에 엔터티 정보,즉 레코드로 저장되는 테이블을 배포하기 위해연결되어 있는 계정 정보로 접슨하기 위해cf login을 한다.  cds deploy --to hana로 HANA Cloud에 서비스를 배포한다.  cds watch --profile hybrid로 로컬 서버에 접속한다.  Create PostgreSQL Instance  BTP에 접속하여Postgre..

더보기
SQLD

[ SQLD ] 성능 데이터 모델링

성능 데이터 모델링 성능 데이터 모델링은 DB 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설계 단계의 데이터 모델링 시기 부터 정규화, 반정규화, 테이블 통합 및 분할, JOIN, 기본키, 외래키 등이 데이터 모델링에 반영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함수적 종속성 함수적 종속성(Functional Dependency)은 데이터들이 어떤 기준값에 의해 종속되는 현상이다. 기준값은 결정자(Determicant), 종속되는 값을 종속자(Dependent)라고 한다. 반정규화 반정규화란 엔터티, 속성, 관계에 대해 시스템의 성능 향상 및 개발과 운영의 단순화를 위해 중복과 통합, 분리 등을 수행하는 데이터 모델링 기법이다. 데이터 무결성이 깨질 수도 있지만, 데이터를 조회할 때 디스크 I/O의 양이 많거나, 경로가 복잡하여 조..

더보기
SQLD

[ SQLD ] 성능 데이터 모델링 - 정규화

성능 데이터 모델링 성능 데이터 모델링은 DB의 성능 향상 목적으로 설계 단계의 데이터 모델링 때부터 정규화와 반정규화, 테이블 통합, 테이블 분할, 조인, 기본키 및 외래키 등의 여러 성능과 관련된 것들이 데이터 모델링에 반영되도록 하는 것이다. 고려 사항 먼저 데이터 모델링을 할 때 정규화를 수행해야 한다. 여기서 정규화란 이상현상이 있는 릴레이션을 분해해 이상현상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두 번째로 DB 용량 산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DB에서 발생되는 트랜잭션의 유형을 파악한다. 네 번째로 용량과 트랜잭션의 유형에 따라 반정규화를 수행한다. 그 다음 이력 모델의 조정, 기본키와 외래키의 조정, 슈퍼 타입과 서브 타입의 조정 등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성능 관점에서 데이터 모델을 검증한다. [ 정보처리기..

더보기
SQLD

[ SQLD ] 데이터 모델링 - Identifier

식별자 식별자(Identifier)는 여러 개의 instance 집합인 Entity를 각기 구분할 수 있는 논리적인 이름이다. 식별자 특징 구분 내용 유일성 주식별자를 사용해 엔터티에 속해 있는 인스턴스들을 유일하게 구분해야 함 최소성 주식별자를 구성하는 속성의 수는 유일성을 만족하는 최소의 수가 되어야 함 불변성 주식별자가 특정 엔터티에 지정되면, 그 식별자의 값은 변하지 않아야 함 존재성 주식별자 지정되면, 반드시 데이터 값이 존재해야 함 식별자 분류 구분 식별자 내용 대표성 여부 주식별자 엔터티 내 각 행을 구분할 수 있는 구분자, 다른 엔터티와의 참조 관계 연결 보조 식별자 주식별자에 비해 대표성이 없어 참조관계 연결 불가 자가 생성 여부 내부 식별자 엔터티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만들어지는 식별자 ..

더보기


300x250
반응형
loading